2010년 2월 4일 목요일

“세종시 원안은 사회주의 도시”

ㆍ권태신 총리실장, 색깔 공세… ‘박근혜의 신뢰론’ 비판도

여권의 세종시 수정 논쟁이 급기야 ‘색깔론’으로까지 번졌다. 권태신 국무총리실장이 3일 세종시 원안을 “사회주의 도시”에 비유하고, 수정안에 반대하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지도자 자질을 거론하고 나서면서다. 세종시 논란이 인신공격의 비난전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권 실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친이계 최대 모임인 ‘함께 내일로’의 세종시 토론회에서 “우리가 발을 잘못 내디디면 금방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세종시 문제를 접근해야 한다”면서 “도시전문가들 말로는 ‘원안대로 하면 사회주의 도시가 된다’고 한다”고 말한 것으로 참석자들이 전했다. “세종시 원안은 그 자체가 수도 분할로 50년, 100년 뒤에 (나라가) 망할 수도 있다”는 극단론도 폈다.

권 실장은 특히 박 전 대표의 ‘정치적 신뢰론’을 겨냥, “신뢰는 올바른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충청도 등을 나쁘게 만드는 것을 갖고 신뢰를 내세우는 것은 지도자, 국가를 운영하는 사람으로서 바른 게 아니다”라고 공박했다. 사실상 박 전 대표의 지도자 자질을 문제삼은 것이다. 박 전 대표의 “신뢰를 돈으로 환산하면 300조원”이란 발언에 대해서도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제시한 300조원은 신뢰비용 아니고, 사회 갈등에 따른 비용으로 신뢰와는 관계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2005년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경제정책비서관으로 행정부처 이전에 찬성한 것에 대해선 “부처 이전이 이뤄질 때면 공무원을 안할 것이니 상관없다는 이기적인 생각을 했다”는 다소 무책임한 해명도 내놨다.

친박계는 즉각 반발했다. 현기환 의원은 개인 성명을 통해 “권 실장은 참여정부 때 청와대에서 세종시에 직·간접 관여했던 사람으로 영혼이 없는 공무원”이라며 “국민과 국익보다는 권력에 해바라기 하는 공무원을 국무총리는 엄중 문책해 공직기강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정부와 한나라당은 이날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고 세종시 수정법안을 2월 임시국회 종료 후인 3월에 제출키로 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